본문 바로가기
부동산

GTX A노선은 2024년, B노선은 2030년 개통 진행상황을 살펴볼까요

by 해피엔딩투자 2022. 9. 22.
반응형

GTX A노선은 2024년, B노선은 2030년 개통 진행상황을 살펴볼까요

국토부는 세간에서 떠도는 GTX(수도권광역급행철도) 사업이 정부의 계획보다 늦어질 것이라는 말이 있지만 정부에서는 원 계획대로 A노선은 2024년, B노선은 2030년에 개통할 수 있다고 발표했습니다.

 

자료출처 : 국토부

GTX-A

먼저 GTX A노선을 살펴보면, 파주 운정에서 서울역 구간에서 보상과 인.허가 등 행정적인 문제로 있어 착공이 다소 지연되었으나 개통 예정인 2024년에는 가능하다고 발표했습니다. 

삼성역이 논란이 있는데요. 삼성역은 현재 영동대로 복합개발 사업과 연계해서 공사중입니다. GTX 이용 불편을 감안해서 2025년 11월부터는 무정차 통과할 예정이라고 합니다.

 

Pixabay로부터 입수된 Thomas님의 이미지 입니다.

 

GTX-B

GTX-B 노선에 대해 살펴보면, 재정구간과 민자 구간 모두 사업자 선정 절차를 진행 중이며, 2024년 상반기 착공해서 원 계획대로 2030년에 개통할 계획이라고 합니다.

2022년 8월 23일 재정구간인 용산에서 상봉구간의 1차 입찰 결과 전체 4개 공구 중 3개 공구가 단독 응찰로 경쟁입찰 조건에 부합하지 않아 유찰되었습니다. 일각에서는 이를 두고 일정이 지연되는 것이 아니냐는 소문이 있었지만 정부에서는 원래 계획대로 2030년에 개통이 가능하다고 발표했습니다.

 

Pixabay로부터 입수된 Erich Westendarp님의 이미지 입니다.

 

2022년 9월 21일에 GTX B노선인 용산에서 상봉까지 1,2,3공구에 대해서 사업자 선정을 위한 재공고를 냈다고 합니다. 

정부에서는 'GTX 조속착공'을 목표로 설계, 시공을 일괄 입찰하는 턴키(Turn-key) 방식을 적용했지만 사업 진행이 늦어지고 있습니다. 2022년 9월 23일까지 실시협약을 체결하고 실시계획을 승인, 착공한 다음 2030년 정상적으로 개통 예정이라고 합니다. 

 

Pixabay로부터 입수된 wurliburli님의 이미지 입니다.

 

사업자를 선정하지 못한 B노선 외 나머지 구간인 인천 송도국제도시~서울 용산(39km), 서울 중랑~경기도 남양주 마석(22km) 등 2개 구간은 민간 사업자가 나눠서 공사하는 구간입니다. 총사업비만 보더라도 재정구간 예상금액인 2조 5584억 원을 상회하는 3조 8421억 원으로 추정된다고 합니다.

정부는 '출퇴근 30분 시대' 목표를 GTX B노선 건설을 조속 추진한다는 입장을 견지하고 있습니다. 계획에 따른 개통을 기대해 봅니다.

 

 

반응형

댓글